고체 및 재료분야

전산고체연구실

  • 연구실명 : 전산고체연구실(기계관 남관 319호, ☏810-3838)
  • 지도교수 :
    • 채영석(기계관 남관 316호, ☏810-2464)
    • 이춘열(기계관 남관 317호, ☏810-2570)
  • 연구실소개

    본 연구실은 전산구조해석(유한요소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차, 원자력 등의 기계 구조물의 응력평가, 파괴역학해석, 최적설계 등을 수행하고 있다. 학위 과정 중에 이론배경을 바탕으로 범용 해석 프로그램 ABAQUS, Ansys/Workbench와 충격 해석 프로그램 AutoDyn, Ls-Dyna 등의 유한요소 소프트웨어를 습득 할 수 있다. 현재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이러한 유한요소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물에 대한 응력 해석 및 변형과 충격의 영향 등을 고려하여 제품 설계에 반영하고 있다.

탄성학응용 연구실

  • 연구실명 : 탄성학응용 연구실(기계관 남관 420호, ☏810-3906)
  • 지도교수 : 최성렬(기계관 남관 313호, ☏810-2443)
  • 연구실소개

    본 연구실은 탄성역학을 기초로 하는 구조용 상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전산 해석 및 문제 해석을 하고 있다. 특히 설계 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변수 등을 고려하여 문제점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해결하는데 중점을 둔다.

센서 및 능동요소설계 연구실

  • 연구실명 : 센서 및 능동요소설계 연구실(기계관 남관 426호, ☏810-4366)
  • 지도교수 : 박상신(기계관 남관 407호, ☏810-3538)
  • 연구실소개

    본 연구실에서는 주로 COMSOL을 이용하여 윤활, 고체역학, 열변형, 열전달, 진동, 동역학등이 연동된 연동해석을 주로 하고 있으며, 대상은 가전용 압축기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상신브레이크와 전기자동차용 브레이크 설계, 현대케피코와 자동차 부품관련 해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미래를 위해서는 현재 전기자동차 시대를 맞이하여, 인휠모터 설계에 관련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액추에이터와 결합된 능동적인 요소 설계에 관련한 연구를 수행 중에 있다.

응용역학 및 기계 신뢰성 연구실

  • 연구실명 : 응용역학 및 기계 신뢰성 연구실(기계관 223호, ☏810-3268)
  • 지도교수 :
    • 정일섭(기계관 남관 202호, ☏810-3525)
    • 신동길(기계관 남관 204호, ☏810-2457)
  • 연구실소개

    본 연구실에서는 각종 기계구조물 및 공정의 응력과 변형률 및 기계적 거동을 해석한다. 연구 방법은 실험적 및 유한요소해석(FEM)을 적용한다.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1) 재료 균질성, 원자력 부품 마모 특성, 2) 다층적층 박막의 구조역학적 해석 및 설계, 3) 기계 및 전자부품의 환경/피로에 따른 수명을 예측하고 신뢰성 평가 기술을 개발, 4)연속체 역학을 기반으로 하여 미소역학 (micro / nano mechanics) 응용 분야로의 Multi-scale 해석 기술 개발, 5) 접착력 및 손상 측정기술을 개발. 연구내용의 응용 및 수료 후 취업 분야는 반도체 후공정 개발, 반도체 장비 개발, 자동차 구조 설계, 신뢰성 검증 등이 있다.

스마트 물질 및 제조 연구실(SMM)

  • 연구실명 : 스마트 물질 및 제조 연구실(SMM)(기계관 남관 420호
  • 지도교수 : 정창윤(기계관 409호, ☏810-2442)
  • 연구실소개

    본 연구실은 나노-마이크로-매크로 스케일의 구조설계를 통해 제조 된 스마트 물질(초감각 스마트 센서, 에너지 하베스팅, 자가치유, 등)을 사용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로봇 스킨, 친환경자동차,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소자를 개발한다. 또한, 미세구조의 다중물리(기계,전자,화학적 성질 등) 현상을 연구하고, 기계공학, 전자공학, 재료공학, 화학공학, 생명공학 등 융합 연구를 통한 스마트 소자 개발을 추구한다. 주 연구 분야는 (1) 기계역학에 근거한 구조설계를 통한 센서/에너지 하베스팅 소자 개발, (2) 다기능성 물질 개발 및 소자에 적용, (3) 초경량-고강도 복합소재 개발, (4) 미세구조 합성 및 제조, (5) 유연/투명한 전극 및 디스플레이 개발, (6) 인공피부 등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본 연구실의 연구과정을 통해 산업(전자, 자동차, 에너지 등)/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특화된 연구 인력으로 성장 할 수 있다.